예뿜

질문과 답변

NEW

산재 이후 추가 손상 발생! 중복 산재 신청 가능한가요?

저는 올해 52세인 남성으로, 2024년 12월 13일 고무성형 회사에 취업했습니다. 2025년 3월 11일, 작업 중 오른손 중지에 분쇄 골절이 발생하여 2개월간 산재 처리를 받은 후 1개월 연장된 상태입니다. 최근 1~2주 전부터 왼쪽 팔꿈치에 엘보우 증상이 나타났고, 오른손보다 엘보우가 더 아픈 상황입니다. 현재 집중 치료를 받고 있지만, 회복 여부가 불투명하여 6월 1일까지 산재 기간이 끝날 때까지 일할 수 있을지가 걱정입니다. 나이가 있고 단순 노무나 제조업에서 일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엘보우로 인해 일을 못 하게 되면 당장 생계가 막막해집니다. 의사는 무거운 짐을 많이 들거나 과도한 노동으로 엘보우가 생길 수 있다고 했고, 이는 제 상황과 부합합니다. 하지만 의료진은 염증으로 분류하고 산재 인정이 어렵다고 하네요. 6월 1일까지 엘보우가 낫지 않으면 실업급여라도 받을 방법이 있을까요? 지금 회사에 입사한 지 약 5개월 되었는데, 6월 1일 이후 앞으로의 생활이 걱정됩니다. 실업급여나 다른 지원 방법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예쁨주의보인 눈매장인·2025-05-07·
98
1
11

현장 일할 때 치아 보호 방법은 무엇인가요?

저는 주로 힘을 많이 쓰는 육체노동을 하고 있는데, 이런 일을 하다 보니 치아 건강이 걱정돼요.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면 치아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까요?

별빛나는 지안·2025-05-04·
50
1
23

성형 수술 후 부작용에 대한 대처 방법

안녕하세요. 성형수술의 부작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작년 말에 절개 쌍꺼풀 수술 후 한 달 후부터 양쪽 눈꺼풀에서 심한 당김을 느껴 병원을 찾았는데, 의사로부터 수술 당시 오른쪽 눈매 교정을 함께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 절차에 대한 사전 언급이 없었고, 수술 전에 이런 이야기를 들은 적도 없었습니다. 수술 시에는 수면 마취 상태였으나, 내 의사가 아닌 수술 전 깨워서 확인했어야 하지 않을까요? 현재 눈 매 교정으로 인한 당김과 고통, 그리고 다른 부작용들로 인해 일상이 힘들어 극단적인 생각까지도 들었습니다. 또한 쌍꺼풀 수술과 눈 밑 지방 재배치가 잘못되었는지 눈 주변의 불편함과 꺼짐 증상도 겪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전액 환불이나 재수술 비용 청구, 정신적·육체적 고통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관련해 어떻게 해야 할지 조언이 절실합니다.

햇살 머금은 살구빛·2025-04-30·
94
1
35

성형수술 부작용 관리 및 보상 방법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작년 말에 쌍꺼풀 수술을 받았는데 이후로 눈꺼풀이 심하게 당기는 느낌이 들고 있어요. 병원에 물어보니 수술 당시 오른쪽 눈에 눈매 교정술을 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수술 전에 이에 대한 설명을 한 적이 없었고, 저는 눈매 교정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하지 않았었어요. 지금은 눈매 교정으로 인해 눈이 당기고, 이마와 눈썹, 점막이 당기면서 두통까지 있어요. 이로 인해 생활이 힘들 정도라 극단적인 생각까지 들고 있어요. 또한 쌍꺼풀과 눈 밑 지방재배치도 부작용이 있는 것 같아요. 의사와의 대화가 녹취되지 않았는데, 다음달 5월 10일 병원 예약이 되어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수술비 환불이나 재수술 비용을 받을 수 있을까요?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 대한 피해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 도움 받을 방법이 필요해요. 관련태그: 손해배상, 의료/식품의약

탄력있는 은비·2025-04-30·
74
1
28

성형수술 부작용 해결을 위한 조언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 말 절개쌍꺼풀 수술을 받았는데, 한 달 후부터 양쪽 눈꺼풀이 심하게 당기는 느낌이 들어 성형외과를 방문했어요. 의사에게 물어보니 수술 당시 오른쪽 눈매 교정이 이루어졌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저는 수술 전 상담이나 수술 중 이와 관련된 설명을 받은 적이 없었어요. 수술 당시 수면마취 상태였지만, 중요한 결정은 제가 깨어서 판단할 수 있게 설명했어야 하지 않았을까요? 현재도 눈꺼풀 당김, 얼굴 통증, 두통 등 부작용이 지속되고 있어서 일상생활이 매우 힘들어요. 또한 쌍꺼풀과 눈밑 지방재배치 수술의 부작용으로 눈 안쪽의 이물감과 눈 밑 꺼짐 증상도 경험하고 있습니다. 다음 달 병원을 다시 방문할 예정인데, 제가 받을 수 있는 피해 보상이나 환불에 대해 궁금합니다. 특히, 다른 병원에서 재수술을 고려하면서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 대한 피해 보상이 가능할까요?

시크한 코끝여신·2025-04-29·
74
1
47

뇌출혈 환자의 향후 치료 중단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21살까지 휴학하고 일하고 있는 젊은 남성입니다. 현재 어머니께서 2024년 11월 23일 뇌출혈로 병원에 입원하셨습니다. 서울대병원에서 목관 수술을 받으셨고, 위례재활병원으로 옮기신 후 소변줄과 석션을 사용하며 계십니다. 처음에는 수술 반대를 했지만, 긴급했던 상황에서 아버지께서 최종적으로 수술을 결정하셨고, 수술 후 일주일 동안 어머니는 식물인간 상태로 계셨습니다. 이후 호전되는 듯했으나 뇌경색이 발생해 다시 수술을 받았습니다. 현재는 상태가 조금 나아져 오른손으로 힘을 주거나 빼고, 간단한 의사소통도 하십니다. 하지만 의식이 있으시더라도 움직이지 못해 욕창이 심각하여 성형외과 수술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병원비와 생활비 부담이 큰 상황입니다. 아버지는 매일 노동일을 하시고, 저는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생활비를 벌고 있습니다. 복지 혜택도 받을 수 없는 상황이고 치료를 계속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로 판단되면 전문의의 동의 하에 연명치료 중단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신비로운 겨울귤·2025-04-17·
98
1
11

얼굴살이 너무 빠졌는데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올해 초부터 이유 없이 살이 빠지기 시작했어요. 특별히 다이어트를 한 것도 아니고, 힘든 육체노동을 하는 일이라 먹는 것보다 움직이는 게 더 많다 보니 원하는 것 먹어도 살이 빠지는데요. 작년 여름에 큰 산부인과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심한 빈혈과 체력 저하로 많이 힘들었습니다. 6주간 휴직 후 일을 다시 시작했지만 체력이 따라주지 않았고, 결국 10kg가 빠졌죠. 식욕도 없고 먹고 싶은 것도 없다 보니 허리 사이즈가 10cm 넘게 줄었어요. 특히 얼굴살이 너무 빠져서 거울보기가 싫어졌는데, 원래도 얼굴에 살이 없는 편이라 볼이 너무 들어가 보이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잔잔한 보라·2025-04-16·
77
1
46

얼굴살 빠지는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2024년 초부터 자연스럽게 체중이 감소하기 시작했어요. 다이어트를 하지는 않았지만, 일이 몸에 부담이 되는 육체노동이라 체력이 소진되고 땀이 많이 나요. 덕분에 먹어도 체중이 줄어드는 상황이에요. 작년 여름 산부인과 수술 이후 회복 과정에서 심각한 빈혈을 겪으며 체력도 크게 떨어졌어요. 6주간 휴직 후 복직했지만 일하는 것이 벅차더라고요. 점점 체중이 줄어 10kg나 빠졌고, 허리는 10cm 이상 줄었어요. 특유의 입맛도 잃었고 식욕도 없어요. 특히 얼굴살이 빠져서 밋밋한 인상으로 보이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은근한 눈매장인·2025-04-15·
74
1
16

얼굴에 열감과 따가운 느낌, 어떻게 해결할까요?

자신에게 관심이 집중되거나 감정이 고조될 때, 얼굴이 붉어지면서 따가운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나요? 이는 감정적 스트레스나 신체 반응으로 인해 얼굴 혈관이 확장되면서 나타날 수 있어요. 육체적 긴장이 가세하면 홍조가 더 강해질 수 있답니다. 이러한 증상은 예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자주 경험하기도 해요.

빛나는 가슴설렘·2025-04-12·
100
1
57

건설현장 사고로 인한 산재와 공상 처리 방법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 부상을 당해 코뼈 골절과 코 부위에 심한 상처를 입었습니다. 병원에서는 수술 후 사무직 또는 감리 업무와 같은 활동이 적은 일을 하는 경우라면 일주일 정도 휴식을 취하고 업무 복귀가 가능하다고 했지만, 저는 고된 육체 노동을 주로 해서 2~3주 정도는 안정이 필요하다며 진단받았습니다. 흉터 치료는 상처가 완전히 나아진 후에나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하루 22만 원의 임금을 받고 근무 중이었습니다. 산재 처리 시 보장이 되는 금액을 대략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블랙퐁크한 주펄빵·2025-04-11·
92
1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