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사고로 인한 산재와 공상 처리 방법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 부상을 당해 코뼈 골절과 코 부위에 심한 상처를 입었습니다. 병원에서는 수술 후 사무직 또는 감리 업무와 같은 활동이 적은 일을 하는 경우라면 일주일 정도 휴식을 취하고 업무 복귀가 가능하다고 했지만, 저는 고된 육체 노동을 주로 해서 2~3주 정도는 안정이 필요하다며 진단받았습니다. 흉터 치료는 상처가 완전히 나아진 후에나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하루 22만 원의 임금을 받고 근무 중이었습니다. 산재 처리 시 보장이 되는 금액을 대략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블랙퐁크한 주펄빵
2025-04-1192391
답변 1개
핑크펑한 오마이걸쑤2025-04-10
답변인증완료
산업재해 처리는 현장에서 다친 근로자가 안정적인 치료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절차예요. 이번 사고로 인해 코뼈 골절과 심각한 상처를 입으신 점, 매우 안타깝습니다. 산업재해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처리되니 참고하세요.
1. 산재 신고 및 서류 제출: 사고 발생 직후에는 사업주에게 보고하고, 산재보험 공단에 신고를 해야 해요. 서류로는 사고 경위서, 진단서 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서류 심사가 진행됩니다.
2. 치료비 및 요양급여: 산재로 인정되면 치료비는 산재보험공단에서 부담하며, 요양 중에는 평소 받던 임금의 일부를 요양급여로 받게 됩니다. 정확한 금액은 본인의 평균 임금에 따라 결정되며, 하루에 받던 급여의 70% 정도가 기준입니다. 이 경우 하루 22만 원 수준의 임금을 받으셨으니, 대략 하루 15만 4천 원 정도를 받게 될 가능성이 있어요.
3. 흉터 및 후유장애 보상: 이후 상처가 회복되고 흉터가 남거나 후유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보상도 추가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별도의 후유장해진단서를 제출해야 가능하니, 의사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아요.
4. 복귀 후 안전: 치료 후 복귀할 때는 충분한 회복 시간을 갖고, 업무 복귀 전에 담당 의사와 꼼꼼히 스케줄을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의 상황을 고려해 무리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까요.
이처럼 산재 처리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절차를 잘 따르신다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고용노동부 산하 근로복지공단에 도움을 청하셔도 좋습니다.
관련 질문
스마트폰이 코에 떨어지면 뼈에 문제가 생길까?
911
골절통증코뼈
서울에서 남자 무턱 필러와 수술, 어떤 선택이 좋을까요?
641
서울필러미용
나에게 찾아온 눈의 새 시작
1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