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부족 문제, 병원에서는 정상 판정이에요
지난해부터 심각한 졸음에 시달리고 있어요. 알바 도중에도 순간 졸고는 깜짝 놀라서 깨곤 하죠. 작년에 병원을 찾아 귀 검사와 혈액 검사를 받았지만, 결과는 모두 정상이라고 했어요. 초등학교 때는 몽유병이 있어서 집안 곳곳을 돌아다녔고, 수학여행에서도 혼자 이야기를 했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그 당시엔 우울증으로 인해 탈모까지 생겨 정신과 치료와 주 3회의 상담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탈모와 몽유병도 거의 사라졌어요. 하지만 작년인가 재작년에 잠결에 걸어다녔다고 언니가 말해줬어요. 최근엔 꿈을 매일 꾸고, 악몽을 일주일에 세 번은 꾸며, 가위에도 일주일에 한 번은 눌리는 것 같아요. 게다가 잠들기 전엔 팔다리가 저절로 떨리는 듯한 발작이 있으며, 놀라서 깨곤 해요. 요즘은 10시에 잠들어서 6시 반에 일어나도, 졸음이 찾아와요. 심지어 13시간을 잤어도 졸리고, 주말에는 거의 하루 종일 자기도 해요. 현재는 25살 여성입니다. 이 증상들이 수면 장애일까요?
심쿵주의 말랑콩떡
2025-05-0789231
답변 1개
싱그러운 립글로즈2025-05-04
답변인증완료
졸음이나 수면 장애가 의심된다면 몇 가지 검토해볼 수 있는 부분이 있어요. 우선, 병원에서 적절한 검사와 상담을 다시 한번 받아보는 걸 추천드려요. 필요하다면 수면다원검사라는 좀 더 심층적인 수면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검사를 받을 수도 있어요.
1. 생활 패턴과 수면 환경 점검하기: 정해진 시간에 잠드는 것처럼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갖는 게 중요해요. 또한, 방안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너무 밝은 조명은 피하는 게 좋겠죠.
2.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수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차분하게 하루를 마무리할 수 있는 루틴을 만들어보세요. 명상이나 따뜻한 차 한 잔도 도움 되겠죠?
3. 운동과 식단: 규칙적인 운동은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돼요. 다만, 밤 늦게 하는 강한 운동은 피하고 아침이나 오후에 가벼운 운동을 시도해보세요.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는 줄이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요.
4. 전문가 상담: 만약 위의 방법들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수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고려해보세요. 특히, 이전에 몽유병과 관련된 히스토리가 있으니 이를 포함하여 상담을 받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요.
이런 접근법들이 조금이라도 도움된다면 좋겠어요. 여기에 더하여, 충분한 휴식과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더 건강한 수면 패턴을 찾아보길 바라요.
관련 질문
우울증 약 복용 시 자살 충동 부작용이 있을까요?
1841
전문가 상담자살 예방우울증
보톡스 후 전신 증상,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001
의료 상담보톡스 부작용심리적 안정
건강 염려증 때문에 생활이 힘드신가요?
991
건강 염려증고립감우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