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뿜

손해배상법적조치의료분쟁의료사고환불

의료사고 후 병원대응과 법적 조치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제 클리닉에서 수면 마취로 써마지 시술을 받았는데, 한쪽 눈이 너무 아파 안과에 가보니 각막이 손상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병원의 대응입니다. 수면 마취에서 깨어나서 눈이 아프다고 하니, 간호사인지 잘 모르는 사람이 와서 인공눈물과 식염수를 넣어줬습니다. 의사 없이 이러한 처치가 진행됐고, 의사를 요청했으나 다른 환자 진료 중이라 오지 않았습니다. 이후 담당 실장이 와서 괜찮다고 말하며 3일이 지나면 괜찮아질 거라고만 했습니다. 저는 이 상황이 의료자격 없는 실장이 의료 행위를 한 불법 행위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의사 진료 없이 제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환자 회복실에서 억지로 의료행위가 진행된 것도 불법이라고 봅니다. 또한 진료기록부를 요청하자 그들이 이에 대한 준비가 안 되어 있다며 나중에 이메일로 보내준다고 했습니다. 제가 현장에서 요구했지만 거절당하여 보건소에 신고하겠다며 언성을 높였더니 그제야 의사가 등장했지만, 역시 대충 3일 지나면 낫는다고만 하며 자세히 보지 않았습니다. 저는 의사를 마취 깨고 1시간 반 만에 만나게 된 것입니다. 병원에 시술 환불과 안과 진료비를 요구했고 손해 보상도 얘기했는데, 불법 의료 행위에 대해 민사, 형사 소송이 가능한지, 그리고 의료 분쟁 조정으로 합의금을 얼마 정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실장실에서의 대화는 녹음했고 진단서와 안과 사진도 보여주었습니다. 수술실 CCTV도 받기로 했는데, 실장실과 환자 회복실의 CCTV 요청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달뜨는 하린
2025-05-2684121

답변 1

달달한 다온2025-05-26
답변인증완료
병원에서의 경험이 매우 힘드셨겠네요. 이런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법적 절차와 병원 대응책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의료 사고 대응 및 기록 수집 - 먼저, 병원의 모든 상황을 가능한 한 상세히 기록하세요. 녹음파일, 진단서, 안과 사진 및 CCTV 영상 등이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 병원이 정확한 진료기록을 제공하지 않았다면, 이는 법적으로 문제 소지가 될 수 있으니 관련 증거를 잘 보관하세요. 2. 법적 자문 구하기 - 가능한 빠르게 의료소송에 대한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세요. 법률 전문가들은 당신이 민사나 형사 소송 여부를 판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의료분쟁조정 신청 - 의료분쟁조정원에 조정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조정을 통해 병원과의 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합의금이 50만에서 300만 원까지 다양하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4. 소송 및 신고 - 불법 의료 행위에 대한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형사 고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만약 병원이 계속 협조적이지 않다면, 보건소나 의료중재위원회에 정식으로 신고하여 조사와 중재를 요청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답답한 상황에서도 차분하게 대응하고 권리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시는 것이 중요해요. 도움이 필요하면 주저 말고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힘내세요!

관련 질문

이름의 의미가 알고 싶어요!

841
이름한자풀이한자

팔자주름 고민하는 분 계신가요?

841
팔자주름시술화장품추천

유방암 수술 후 재활 병원 선택 방법 알려주세요

571
재활수술 후 회복요양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