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뿜

질문과 답변

대장 검진 및 용종 관리 방법 문의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상행결장에 큰 반달 모양의 과형성 용종이 발견되었습니다. 조직검사 결과 악성은 아니지만, 용종이 넓게 퍼져 있어서 제거를 위해 상급병원에 가야 한다고 들었어요. 최근 이 부위 주변에서 공복이든 식후든 가벼운 복통을 겪고 있으며,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먹으면 통증은 해소됩니다. 궁금한 점은, 1. 조직검사를 용종의 가운데 부분만 했다고 하는데, 다양한 위치에서 검사를 해보는 것이 더 정확하지 않을까요? 2. 빠르게 시술 가능한 개인병원이 있을까요?

청순한 입꼬리천사·2025-05-04·
60
1
41

위내시경 후 보험 보장 가능성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2000년 11월에 위내시경 도중 용종 2개가 제거된 경험이 있습니다. 이후 보험에 가입할 때 고지의무를 다했지만, 보험사에서 위 관련 보장을 받을 수 없다고 했어요. 이 경우 앞으로도 영구적으로 위 관련 보장을 받지 못하는 건가요? 현재 5년 이상 지나 완치되었습니다.

차분한 아침햇살·2025-05-01·
79
1
55

대장 용종 제거 후 암 진단, 향후 관리 방법은?

오늘은 조금 혼란스러운 상태이니 양해 부탁드려요. 아버지가 대장내시경을 통해 큰 용종을 발견하여 제거 수술을 하셨어요. 이후 조직 검사 결과 그 용종이 암이라고 들었어요. 의사 선생님께서는 제거 후 5년간 꾸준히 검사해서 재발이 없으면 괜찮다고 하셨다고 합니다. 제가 그 자리에 없었기 때문에 확실히 여쭤보는 겁니다. 제거한 용종이 암이 맞는지,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었는지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아버지는 이미 폐와 위장 검사를 받았고 다음 주에도 검사를 받으러 가신다고 해요. 생일에 아버지께서 빨리 발견하고 제거한 것이 큰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버지가 괜찮으실까요?

화사한 블러셔러버·2025-05-01·
53
1
16

엄마 증상,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머니의 건강 상태가 걱정이 되시겠어요. 복부의 부종과 식욕 부진, 변과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자궁 초음파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다고 나왔다면, 소화기계 쪽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대장에 혹시 종양이나 용종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니, 전문의를 찾아가셔서 대장 내시경이나 다른 정밀검사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달빛 아래 촉촉입술·2025-04-26·
89
1
32

용종 제거 후 암일 가능성 얼마나 될까요?

아버지가 건강검진 중에 위 내시경을 받으며 용종 하나를 제거했다고 하셨습니다. 부모님의 대화를 몰래 듣다 보니 의사분께서 암 가능성이 있다고 조직 검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정말 암일 가능성이 큰 걸까요? 아버지 말씀으로는 용종이 하나 있었고 크기가 크지 않아서 내시경으로 바로 제거했다고 해요. 만약 크기가 컸다면 다른 시술이 필요했을 거라고 했습니다. 아버지가 받은 안내서에는 제거한 항목에 '용종'이 체크되어 있었습니다. 아버지께서는 '말이 그렇다는 거지, 이상했으면 조직 검사를 했겠지'라고 하셨고, 어머니는 의사가 원래 그런 말을 한다며 안심하라고 하셨습니다. 질문은 보통 용종을 떼어내면 반드시 조직 검사를 하나요? 그리고 내시경으로 제거 가능한 용종의 일반적인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요? 그리고 매년 4월마다 대학병원에서 검사를 받으셨는데, 갑자기 이럴 수 있는 건가요?

프레싀한 김블룩·2025-04-10·
98
1
32

용종의 암 가능성에 대한 우려

아버지께서 건강검진 중 위내시경을 통해 용종 하나를 제거했다고 합니다. 의사가 암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조직검사를 진행했다고 들었는데, 이런 경우 정말 암일 가능성이 높은 걸까요? 아버지는 용종이 하나 있었고 크기가 크지 않아서 내시경 중 간단히 제거했다고 하셨습니다. 크기가 컸다면 더욱 복잡한 시술이 필요했을 거라고 합니다. 제가 직접 여쭤보니 어머니는 의사들이 종종 이런 말을 하고 모든 용종은 기본적으로 조직검사를 한다고 하시고, 아버지는 의사의 말에 어떤 의도가 숨어 있을 것 같다며 의심스러워 하십니다. 보통 모든 용종은 조직검사를 진행하는 걸까요? 내시경으로 제거 가능한 최대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요? 매년 4월 대학병원에서 정기검사를 받으셨는데, 이번에 갑자기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는 건가요?

샤방샤뱅한 히밥퍼·2025-04-09·
89
1
21

대변에 빨간색이 섞여 놀랐어요

최근 왼쪽 배나 하복부 통증이 잦고, 원인을 알 수 없는 설사를 지속하다가 대변이 토끼똥처럼 조금씩 나오다가 지금은 굉장히 묽게 변했어요. 방금 대변을 보니 빨간색이 섞여 있어 깜짝 놀라 사진을 찍었어요. 대변에 섞인 빨간색이 혹시 피인가요? 걱정할 정도는 아니겠죠? 대변 후에도 복통이 있습니다. 과거에 대장내시경으로 용종을 제거한 경험이 있습니다. 나이는 26세입니다. 대변 속 빨간색이 피인지 궁금합니다.

쯔얀다운 엠부로·2025-04-05·
61
1
36

만성 위염, 표재성 vs. 위축성 구분 가능할까요?

25세 남성인데 최근 건강검진에서 만성 위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소화불량 증상은 조금 있었지만 속쓰림은 없었습니다. 내시경 조직검사나 용종 제거 등 추가 치료는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검사 결과로는 생활 습관과 식습관 조절이 필요하다는 조언만 받았습니다. 그러나 찾아보니 만성 위염이 표재성과 위축성 단계로 구분된다고 합니다. 정확한 단계는 어떻게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끗없는 김성훼·2025-04-01·
77
1
32

항암 치료의 종류와 실질적인 통증에 대한 궁금증

23세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으로 인한 4기 직장암을 진단받았습니다. 대장 전 절제와 1cm 크기의 간 종양 제거 수술을 받은 상태입니다. 항암 치료는 3박 4일 입원 후 진행된다고 하는데 통증에 대한 걱정이 많습니다. 사용되는 약물이 궁금합니다.

독창스런 상헤기·2025-03-10·
58
1
12

소화불량과 장염 후 지속되는 증상

3주 전에 장염과 몸살을 앓으면서 병원을 다니며 약 10일 정도 죽만 먹으며 치료를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소화불량, 가스 참,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이 계속되고 있으며, 변의 색깔이 녹색과 황색으로 변했고, 변 형태도 부서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위와 대장 내시경을 받아 용종 3개를 제거한 후에 병원에서는 장염이 끝났다고 하였으나, 3주가 지난 현재 시점에서도 식사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을 섭취함에도 불구하고 소화불량과 가스 참, 변 형태가 개선되지 않고 있습니다. 조금만 매운 것을 먹어도 즉시 물설사를 하게 되는데, 이런 불편한 증상이 왜 지속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내시경 검사에서도 문제가 없었고, 유산균도 잘 챙겨 먹고 있습니다.

핑크펑한 풍월냥·2025-03-09·
94
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