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뿜

질문과 답변

NEW

돌출입 수술 없이 교정 가능할까요?

서울에 사는 20대 초반 남성입니다. 예전부터 몰려오는 고민이 입이 좀 나와 보인다는 점이었어요. 성인이 되고 나서도 그 모습이 마음에 걸리고 사회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 같아서 돌출입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요. 검색해 보니 돌출입 교정에 수술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있고, 저 같은 경우 교정이 필요할 만큼 돌출이 심한 것 같아요. 하지만 수술이라면 조금 걱정이 되는데, 꼭 해야 하는지 알고 싶어요.

꾸안꾸한 아침햇살·2025-05-19·
50
1
20

20살 여성이 길거리에서 헌팅을 거절할 때의 속마음

길거리에서 낯선 남자가 다가왔을 때, 만약 여성이 '저 20살인데요...'라는 반응으로 거절했다면, 이는 보통 그 남성을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으로 봤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녀는 아마도 그 남자가 최소한 자신보다 나이가 많아 보인다고 느꼈을 것입니다. 보통 사회적 관습상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예의를 차리는 문화가 있기 때문에 여성의 반응은 나이차를 인지했거나 나이 차를 중요하게 생각했음을 나타낼 수 있어요.

도톰한 말차쿠키·2025-05-19·
85
1
51

중주파 마사지기 효과가 궁금해요!

저도 최근에 사회적 모임에서 얼굴 상태가 좋지 않다는 말을 듣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어요. 그래서 피부 관리를 좀 더 해보려고 중주파 마사지기를 알아봤는데, 브이세라와 젝타 듀얼샷건 두 가지가 많이 언급되더라고요. 두 제품 모두 유명하지만, 가격과 효과, 장단점에서 차이가 있어 고민입니다. 또, 홈쎄라 듀얼소닉 같은 다른 제품들은 가격이 많이 비싸서 망설여지네요. 중주파 마사지기를 사용해보신 분들의 솔직한 경험담을 듣고 싶어요!

토닥토닥한 민하·2025-05-19·
82
1
33

부모님을 양악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설득할까요?

저는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으로, 심한 주걱턱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발음이 부정확하고, 음식도 앞니로 잘 자르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눈과 코는 준수한 편인데 턱 때문에 외모 콤플렉스가 심해졌어요. 코로나 시국에 마스크를 썼을 때는 고백을 많이 받았지만, 마스크를 벗은 후 주변 반응이 달라지는 것을 보고 사회 생활에 트라우마가 생겨 한동안 외출을 하지 못했습니다. 치과에서는 교정만으로는 턱 문제를 강제로 해결할 수 있지만 양악 수술이 더 적합하다고 추천했어요. 그러나 부모님은 양악을 반대하고 교정만을 권유하고 계십니다. 부모님도 주걱턱이 있는데, 그 유전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양악 수술의 필요성을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달빛 아래 딸기크림·2025-05-16·
88
1
3

한국에서 기독교가 인기 있는 이유가 궁금해요

한국의 기독교는 어떻게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게 되었을까요? 역사적, 사회적 요인에 대해 알고 싶어요.

소소한 다온·2025-05-13·
73
1
44

저에게 영감을 줄 의료 분야 롤모델 추천 좀 해주세요

교정 전문의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치과의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사 중에서 제 이정표가 될 수 있는 분을 추천 받고 싶어요. 특히, 봉사보다는 약물 개발이나 사회에 새로운 영향을 준 분이면 더욱 좋겠어요. 자세한 정보는 필요 없고 이름만 알아도 괜찮습니다. 인기 있는 인물이라면 좋겠습니다. 설령 의사가 아니더라도 의사의 마음가짐을 가진 분도 환영해요.

하루끝의 쌀쌀이·2025-05-12·
79
1
43

의사로서의 롤모델 추천 부탁드립니다!

교정 전문의를 꿈꾸고 있는 사람입니다. 저는 봉사 활동보다는 새로운 약제 개발이나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의사분들 중에서 롤모델을 찾고 싶어요. 특별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는 없고, 가능하면 유명한 분이면 좋겠습니다. 심지어 의사는 아니더라도 의사가 되기 위한 올바른 마음가짐을 갖춘 분이라면 추천해 주세요.

몽환적인 지유·2025-05-11·
75
1
21

의사 롤모델 추천 부탁드려요

교정 전문의를 꿈꾸며 저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롤모델을 찾고 있어요. 봉사 활동보다는 약제 개발이나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유명한 인물을 알고 싶어요. 구체적인 정보 없이 이름만 추천해주셔도 괜찮아요. 의사가 아니더라도 의사가 갖춰야 할 마음가짐을 지닌 인물이면 좋겠어요. 많은 추천 부탁드립니다!

비 오는 날의 턱선미인·2025-05-11·
90
1
19

한국 병원에서는 왜 여전히 '환자'라는 표현을 쓸까?

해외에서는 병원 방문자를 '고객'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에서는 여전히 '환자'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순히 개인 건강 관리나 상담 등을 위해 방문하는 사람도 많지만, 이들을 모두 '환자'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① '환자'와 '고객'의 차이 한국에서 '환자(患者)'라는 용어는 질병을 치료받는 사람을 의미하며, 관계가 주로 의사 중심으로 형성됩니다. 반면, 고객(顧客)은 선택의 자율성과 주체성이 강조된 표현이죠. 최근 의료 서비스가 치료뿐 아닌 건강 관리로 그 역할을 확대하면서 '고객'이라는 호칭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② 해외와 한국의 차이 외국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patient' 대신 'client', 'guest', 'consumer' 등의 호칭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료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더 나아가 '고객의 경험과 만족'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의료계의 전통적인 관습과 시스템 때문에 '환자'라는 표현이 여전히 주류를 이룹니다. ③ '환자'라는 호칭의 지속적 사용 이유 한국 의료계에서는 '의사-환자' 관계가 오랫동안 자리잡고 있습니다. 일부 의료진은 단순히 '진료를 받으러 온 사람'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지만, 무의식적으로 자아가 약해진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④ 호칭 변화의 가능성과 필요성 - '환자'라는 용어는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강화시킬 수 있어요. 반면 '고객'이나 '이용자'라는 호칭은 자존감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이미 '고객님'이라는 표현을 도입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차용된 사례도 있습니다. 결국, 호칭은 간단한 언어적 선택을 넘어 존중의 표현이므로, 병원에서는 다양한 방문 목적에 맞춰 더 존중감 있는 용어로 변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근사근한 세린·2025-05-11·
57
1
28

성전환을 되돌리고 싶어요

저는 MTF로 성전환 수술을 받은 트랜스여성입니다. 여성으로서 살아가고자 결심했지만, 그동안 사회에서 겪은 차별과 편견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대학교 시절에 성전환을 결심했고, 그로 인해 많은 불이익을 받았습니다. 트랜스여성으로서 과도한 비판과 폭언, 심지어 폭력적인 상황들까지 경험하며 정체성에 대한 회의감이 들곤했습니다. 이렇게 살아가는 게 너무 지쳤고, 부모님과 상의하던 중에 다시 성을 전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과거보다 나은 삶을 꿈꾸며 다시 성전환을 되감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상큼한 가슴설렘·2025-05-10·
80
1
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