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뿜

의료보상공상처리건설현장부상산재

건설현장 사고로 인한 산재와 공상 처리 방법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 부상을 당해 코뼈 골절과 코 부위에 심한 상처를 입었습니다. 병원에서는 수술 후 사무직 또는 감리 업무와 같은 활동이 적은 일을 하는 경우라면 일주일 정도 휴식을 취하고 업무 복귀가 가능하다고 했지만, 저는 고된 육체 노동을 주로 해서 2~3주 정도는 안정이 필요하다며 진단받았습니다. 흉터 치료는 상처가 완전히 나아진 후에나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하루 22만 원의 임금을 받고 근무 중이었습니다. 산재 처리 시 보장이 되는 금액을 대략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블랙퐁크한 주펄빵
2025-04-1192391

답변 1

핑크펑한 오마이걸쑤2025-04-10
답변인증완료
산업재해 처리는 현장에서 다친 근로자가 안정적인 치료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절차예요. 이번 사고로 인해 코뼈 골절과 심각한 상처를 입으신 점, 매우 안타깝습니다. 산업재해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처리되니 참고하세요. 1. 산재 신고 및 서류 제출: 사고 발생 직후에는 사업주에게 보고하고, 산재보험 공단에 신고를 해야 해요. 서류로는 사고 경위서, 진단서 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서류 심사가 진행됩니다. 2. 치료비 및 요양급여: 산재로 인정되면 치료비는 산재보험공단에서 부담하며, 요양 중에는 평소 받던 임금의 일부를 요양급여로 받게 됩니다. 정확한 금액은 본인의 평균 임금에 따라 결정되며, 하루에 받던 급여의 70% 정도가 기준입니다. 이 경우 하루 22만 원 수준의 임금을 받으셨으니, 대략 하루 15만 4천 원 정도를 받게 될 가능성이 있어요. 3. 흉터 및 후유장애 보상: 이후 상처가 회복되고 흉터가 남거나 후유장애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보상도 추가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별도의 후유장해진단서를 제출해야 가능하니, 의사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아요. 4. 복귀 후 안전: 치료 후 복귀할 때는 충분한 회복 시간을 갖고, 업무 복귀 전에 담당 의사와 꼼꼼히 스케줄을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의 상황을 고려해 무리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까요. 이처럼 산재 처리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절차를 잘 따르신다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추가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고용노동부 산하 근로복지공단에 도움을 청하셔도 좋습니다.

관련 질문

실리프팅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와 현명한 선택

8712

구미 근처 한의원 리프팅 시술 가능한 곳 있나요?

1681
시술구미피부 관리

전신 지방흡입, 체중 감량에 효과적일까?

591
다이어트체중 감량지방흡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