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뿜

아동 심리수면 장애몽유병신경과 진료부모 고민

초등학생 아들 몽유병,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11살 초등학생 아들을 두신 아버님께서 몽유병 증상에 대해 걱정하고 계시네요. 아이가 잠자는 중에 무의식적으로 방 안을 돌아다니는데, 첫 몇 번은 가볍게 지나갈 수 있을 것 같았지만 횟수가 잦아져 걱정이 많이 되시는 것 같아요. 덧붙여, 아이가 전혀 기억을 못 한다는 점도 큰 우려거리입니다. 학교에서 특별한 스트레스 원인도 없다 하니 혹시나 뇌나 신경계 문제일까 걱정되시네요. 이 경우에 어떤 진료과를 방문하고, 어떤 검사가 필요하며, 또 치료가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맑은 메이크업박사
2025-05-0665311

답변 1

꾸안꾸한 서윤2025-05-04
답변인증완료
몽유병은 주로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행동으로, 특히 아이들에게 흔하게 나타날 수 있어요. 다음은 몽유병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입니다. 1. 초기 관찰 단계 - 아이의 수면 환경을 안전하게 만들어 주세요. 넘어지거나 다칠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치우시고, 문과 창문이 잠겨 있는지 확인하세요. - 언제,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일지를 기록해 보세요. 시간, 빈도, 상황 등을 기록하면 도움이 돼요. 2. 전문가 상담 및 진료 - 소아과 또는 신경과를 방문해 보세요. 첫 진료는 소아과에서 시작하여 필요 시, 보다 세부적인 검사를 위해 신경과로 의뢰될 수 있어요. - 의사는 아이의 병력과 증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필요하다면 수면 다원 검사(polysomnography) 등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3. 치료 및 관리 - 몽유병이 심각한 질환에 기인한 경우,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전문의의 지도를 따라 약물 치료 혹은 행동 치료를 병행할 수 있어요. 4. 추가적인 관리 방법 - 아이의 심리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스트레스 받는 일이 없는지 꾸준히 점검해 주세요. -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해요. 일정한 시간에 잠들고 깨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아버님께서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위의 권고 사항들을 토대로 조금 더 아이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시고, 전문의의 진단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수면 환경 조성이 먼저이니, 앞서 언급한 수면 환경 조치부터 시작해 보시는 것을 권장드려요.

관련 질문

보톡스 후 전신 증상,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001
의료 상담보톡스 부작용심리적 안정

갱년기 열감을 줄이는 방법

981
갱년기열감식은땀

체형 불균형 관련 진료 과목 추천

981
정형외과통증 관리오리궁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