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과 답변
교통사고 후 얼굴 손해보상 합의금 문의
작년 8월 교통사고로 인해 상대 차량이 비보호 구역이 아닌 곳에서 좌회전하며 충돌, 뒤좌석에 타고 있던 제가 광대 폐쇄성 골절 수술과 얼굴 봉합 수술을 받았습니다. 이후 여러 합병증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대학병원에서 한달 입원과 한의원에서 일주일간 물리치료를 받았고, 봉합 수술 후 흉터 개선을 위해 두 차례 레이저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보험사에서는 휴업손해를 포함해 600만 원을 제시했는데, 분쟁 없이 최대 얼마까지 보상 받을 수 있을까요?
레이저제모로 인한 화상 피해, 보상을 어떻게 받을까요?
작년 12월, 인중 레이저 제모 시술 중 화상을 입게 되었어요. 시술 전, 상담실장에게 볼록 튀어나온 점을 냉동 치료 전에 켈로이드 염증 주사를 맞으라는 권유를 받았어요. 시술 후 돌아와 세안할 때 따가움과 화끈거림을 느껴, 짙은 펜 표시가 아닌 상처자국이라는 걸 알게 되었죠. 다음 날, 피부가 벗겨지고 짓무르는 것을 확인해 병원에 연락했고, 레이저로 인한 화상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후 몇 차례 피부 재생 주사와 미백 레이저 치료를 받았지만 최종적으로 병원에서는 시간과 미백 레이저로 해결하라는 말을 들었어요. 합의를 원해 병원 측에 문의했으나, 수십만 원의 소액 현금과 적립금 형식의 보상을 제안받았습니다. 보험 처리를 통해 400만 원의 합의금이 산출됐으나, 담당 의사의 승인 없이 소송을 권유받았어요. 이 상태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레이저 제모로 인한 화상 피해 보상 문제 해결 방법
2024년 12월, 인중 레이저 제모 시술 중 화상을 입어 보상 문제로 상담을 요청합니다. 2024년 12월 16일, 인중과 종아리 제모, 턱 보톡스, 일반 점 3개와 튀어나온 점 1개 제거 시술을 받았습니다. 시술 전 상담 중 상담실장은 튀어나온 점에 냉동 치료 전에 켈로이드 염증 주사를 먼저 맞아 보라고 권했습니다. 시술 준비 과정에서 튀어나온 점은 짙은 색 펜으로, 일반 점은 하얀색 펜으로 표시되었습니다. 시술 후 세안 중 화끈거림을 느꼈고, 펜이 지워지지 않은 줄 알았으나 사실은 상처 자국이었습니다. 다음 날 피부가 벗겨지고 짓물이 생기는 것을 확인, 병원에 전화하니 방문을 요청받았습니다. 병원에서는 레이저가 펜 표시를 인식해 화상을 입었다고 설명하고, 이후 2-3번 방문하여 피부 재생 주사와 미백 레이저 치료를 받았습니다. 마지막 방문 시 향후 치료 계획을 물었으나, 병원은 시간이 해결해 줄 것이라며 미백 레이저를 권했습니다. 병원의 합의금은 현금 10-15만 원과 적립금이었습니다. 이 금액이 적당하지 않아 분쟁조정위원회에 의뢰하고자 했으나, 병원은 의사가 가입한 보험 처리를 진행했습니다. 보험에서는 약 400만 원의 합의금이 산출되었지만, 의사가 인정하지 않아 소송을 권유받았습니다. 계속된 스트레스로 인해 소송을 시작해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하나님이 사람들 사이에 갈등을 허락하신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들 사이에 분쟁이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나요? 혹시 그 깊은 뜻이 무엇인지 궁금하신가요? 갈등 속에서도 성장과 배움이 있다면, 이를 허락하신 의도가 따로 있을 수 있죠. 이를 통해 우리는 나 자신과 상대방을 더 잘 이해하고, 더 깊이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답니다.
레이저 제모 후 화상으로 인한 보상받기 위한 방법은?
최근 인중과 턱 부위에 레이저 제모 시술을 받은 후 2도의 화상을 입었습니다. 시술 후 병원을 찾아갔으나 명확한 진단을 받지 못했으며, 새로 방문한 병원에서 2도 화상 진단을 받았습니다. 시술병원에서 과실을 인정하고 치료를 제공하겠다고 했지만, 타병원에서 치료받길 원하면서 보상 문제로 병원과 협의 중입니다. 시술병원에서는 치료비와 관련해 보험사를 통해 처리하라고 제안했지만, 100% 보상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럴 때 다른 병원에서 치료받고 그 비용을 전액 보상받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정신적 피해 보상금과 교통비 등 추가적인 보상 요구도 가능할까요? 소송을 진행하려면 어떤 서류가 필요할지 알고 싶습니다. 관련 태그: 손해배상, 의료분쟁
성형 부작용 문제와 손해배상 절차
코 성형 후 코가 심하게 휘어 콧구멍이 비정상적으로 좁아졌어요. 처음엔 시간이 지나면 붓기가 빠져 나아질 것이라고 했으나, 상태가 악화되어 만성 축농증까지 생겼습니다. 씨티 촬영 결과도 상태가 좋지 않아 보이네요. 손해배상을 청구하려고 하는데 만약 합의를 하게 된다면 어느 쪽이 유리할까요? 소송을 진행하면 병원과 의사가 받을 수 있는 처벌은 무엇인가요? 병원 측이 제가 무지하다고 생각해 대담하게 행동할까 걱정됩니다. 관련 태그: 손해배상, 의료 분쟁
의료 분쟁, 형사고소 가능할까요?
성형수술을 받은 병원과의 분쟁으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수술 전 얼굴에 흉터가 있었고, 미니거상과 풀지방 이식을 상담받던 중 한 병원에서 더 많은 부위를 절개하는 안면거상 수술과 지방이식에 대한 상담을 받았습니다. 원장은 신경차단을 해야 지방이 잘 생착된다고 했고, 반영구적인 효과로 보톡스를 맞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술 전 원장과 실장 모두 다양한 약속을 했으나, 수술 당일 원장은 흉터를 부드럽게 풀어줄 수밖에 없다고 말을 바꾸었습니다. 턱끝의 움직임을 개선한다고도 했지만 효과는 없었으며, 신경차단 효과는 한 달을 넘기지 못했습니다. 또한 지방이식을 원하는 곳에 정확히 하지 않았고, 턱끝 신경차단도 하지 않았습니다. 수술 후 원장은 책임을 회피하며 거액의 추가 비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료소송을 고려 중이며, 형사소송으로 진행할 경우 어떤 법적 절차와 서류가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제왕절개 중 신생아 상처로 인한 법적 대응 방법
1. 새벽에 양수가 터져서 긴급하게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신생아의 볼에 깊이 1.5cm의 상처가 생겼어요. 2. 의료진은 메디폼을 붙이고 보호자에게 상황을 잘 설명하지 않으며, 책임자도 며칠간 연락이 되지 않았고, 상처가 깊어져 반복봉합이 필요했어요. 3.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의 움직임 때문에 봉합부위가 다시 열렸고, 상처는 점점 눈에 띄게 되어 걱정이 커졌어요. 4. 여러 의사들에게 상담한 결과, 성장 후 성인이 되어야만 근본적인 흉터제거 수술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5. 이 사건에 대해 민형사 고소 시 승소 가능성과 적정 배상금 및 소요 시간이 궁금해요. 6. 의료 분쟁 조정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좋은지,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법적 절차가 불가능한지 알고 싶어요.
제왕절개 분만 시 신생아 상처에 대한 조치 및 보상 문의
새벽에 산과 상황에서 제왕절개로 분만을 진행하던 도중 신생아의 볼에 1.5cm 길이의 깊은 상처가 생겼습니다. 의료진은 메디폼을 붙여 보호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지 않았고, 상처가 너무 커서 같은 날 겉과 속을 이중으로 봉합하는 수술이 필요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아이의 성장이 이뤄짐에 따라 내부 봉합선이 터져 현재는 흉터가 많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모든 의사는 성인이 되어야 흉터 제거 수술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상황에 대해 민형사 고소로 승소 가능성과 적당한 배상금, 소송에 걸리는 시간이 궁금합니다. 또한 의료분쟁조정 제도를 활용할지, 이 제도를 이용하는 동안 사고 발생 후 3년이라는 기간이 지나면 조정이 성립되지 않을 경우 소송 접수 여부가 제한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교통사고 후 절차 및 소송 관련 조언 요청
안녕하세요. 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 상황에 대해 문의드려요. 저는 대로에서 시속 30km/h로 서행 중이었고, 소로에서 멈춰있던 차량이 갑자기 좌회전하며 저와 충돌했습니다. 저는 무과실을 주장하지만 상대 보험사는 7:3 과실을 주장하며, 분쟁 해결에서는 85:15로 결정되었습니다. 상대방은 제가 교차로 진입 전 충분히 감속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제가 사고 직전 경적을 울렸지만 이미 부딪힌 상황이었고, 저의 차량 수리비는 300만원, 상대방에게는 약 17만원 정도의 손해가 발생했고 대인치료는 없었습니다. 저는 사고 후 뇌진탕으로 계속 치료 중입니다.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85:15에 동의해야 할까요, 아니면 소송을 해야 할까요? 2. 소송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3. 보험사가 소송을 거부할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3-1. 개인소송 시 변호사 비용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4. 항소심 후 최종 판결이 9:1이 되면 소송비용은 어떻게 산정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