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뿜

질문과 답변

NEW

다리 부상 후 추상장해 청구에 대한 문의

작년에 큰 사고로 왼쪽 다리 골절과 다양한 신경 손상을 받았어요. 특히 지난해 CRPS 2형 진단을 받았고, 계속된 이상 통증은 팔까지 확산됐습니다. 여러 검사를 받았고 앞으로 추가 검사가 예약되어 있는데, 금속 고정물 때문에 수술을 하지 못해 평생 삽입된 채 살아가야 한다고 하네요. 또한, 다리 부재칭 문제와 복합흉터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요. 이 상태로 추상장해를 얼마나 청구할 수 있을지 궁금하고, 이후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후유장해 평가도 준비 중입니다.

꿈결같은 광대라인·2025-05-19·
57
1
28

켈로이드 피부인데 눈썹 문신 가능할까요?

작은 상처에는 켈로이드 반응이 없지만 무릎이나 꼬맨 자국에는 볼록하게 흉터가 생겨서 걱정이에요. 이를 켈로이드 피부로 봐야 할지 고민되네요. 게다가 눈썹 문신을 시도하고 싶지만 저 같은 피부 타입에서도 안전할지 확신이 서질 않아요.

말간 애교눈빛·2025-05-19·
80
1
54

청담역 근처 무릎 관절염 수술 꼭 해야 할까요?

50대 중반 여성으로, 청담역 인근에서 무릎 관절염을 앓고 있습니다. 초기 치료 시기를 놓쳐 수술이 필요할지 고민 중인데, 통증이 심해 무서움이 앞서요. 수술 후 회복에도 시간이 오래 걸릴까 걱정입니다.

별빛나는 라온·2025-05-18·
52
1
35

머리 외상 후 탈모가 올까요?

머리를 부딪쳐 찢어진 부위에 스테이플러 고정 후 탈모가 생길지 걱정이 되네요. 부상 후 탈모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죠.

하루끝의 턱선미인·2025-05-18·
50
1
22

실 리프팅 시술 후 사고로 인한 통증 심화

실 리프팅 후 외부 충격으로 얼굴에 통증이 심해졌어요. 무릎에 부딪혀서 통증이 가중되었고, 턱에 보톡스도 시술했는데 이번 사고로 인해 시술에 문제가 생긴 건 아닌지 걱정되네요.

한낮의 뷰티밤·2025-05-18·
59
1
6

무릎 다쳤는데 병원 방문이 필요할까요?

금요일에 비로 인해 내리막길에서 넘어졌어요. 무릎에 부상을 입었고 메디폼을 붙였는데, 하루만에 갈았어요. 현재 상태는 진물이 계속 나오고 아파요. 흉터가 남을지도 걱정이에요.

분위기있는 이목구비·2025-05-17·
99
1
22

실 리프팅 후 얼굴 부딪힘으로 인한 통증 문제

실 리프팅 시술을 받은 지 4일 차인데, 부주의로 얼굴을 다른 사람 무릎에 부딪히면서 심한 통증을 느끼고 있어요. 턱에 보톡스 시술도 받았는데, 혹시 시술이 잘못된 건 아닌지 걱정됩니다.

살랑이는 블러셔러버·2025-05-17·
88
1
26

켈로이드 치료, 피부과와 성형외과 중 어디가 적절할까요?

작년 여름, 무릎 부상으로 생긴 켈로이드로 인해 고생하고 있어요. 작년 말까지 주사 치료를 꾸준히 받았지만 일정이 너무 바빠 방문을 놓쳐 결국 치료를 중단했어요. 지금은 가만히 있어도 따갑고 간지러워 기존의 흉터가 눈에 띄게 보이네요. 주사 치료를 다시 시작하면 효과가 있을까요? 아니면 성형외과에서 치료를 받는 게 나을까요? 성형외과에선 어떤 방법으로 치료를 하고, 절차가 많이 고통스러울까요?

소소한 솜사탕·2025-05-16·
83
1
29

공사장 구조물 사고 시 과실 책임은 누구에게?

사건 요약: 길을 걷던 중 공사장 구조물에 머리를 부딪혀 이마에 부상을 당한 상황이에요. 공사 측은 사고 직후 안전 장치를 설치했으나, 미리 설치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했어요. 과실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싶어요. 변호사를 고용해야 하는지도 궁금해요.

차분한 예린·2025-05-16·
50
1
17

언어발달센터에서 발생한 부상 사건의 법적 대응 방법은 무엇인가요?

6살 딸이 언어발달 지연으로 언어치료를 받던 중 불행히도 팔이 골절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당시에는 상황 파악이 힘들어 바로 병원으로 향했고, 클리닉 담당선생님은 단순 타박상으로 여겼습니다. 수술 후 현재 핀 제거와 더불어 성형외과에서 레이저 치료도 받았으며, 치료비는 보험으로 처리됐습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언어치료를 계속 받으려 하니 담당 선생님의 유학으로 인해 다른 센터를 알아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연이 너무 속상합니다. 딸의 부상 원인도 너무 간결히 설명되어 어떻게 다친 건지 불분명합니다. CCTV도 없고, 발달센터를 상대로 주의의무 위반 등 형사적 대응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합의를 시도했지만, 제시된 금액은 50만원에 불과했습니다. 추가 보상 요구가 가능할까요?

도톰한 순무찜·2025-05-16·
92
1
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