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뿜

보험처리상해코드병원진단비중격코성형

코 수술 후 외상 상해코드 받을 수 없는 이유가 궁금해요

24년 6월 기능코와 미용코 수술을 받고 지내던 중, 25년 4월 수업 중에 발에 코를 맞아서 비중격이 휘어졌다는 병원 진단을 받았습니다. 수술했던 성형외과에 다시 방문해 수술을 받았지만, 진단서에는 질병코드만 있었어요. 병원에서는 코뼈에 문제가 없어서 상해 코드는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상대 보험사에서는 상해코드가 아니면 보험 처리가 불가하다고 하네요. 상해코드를 받을 수 없는 이유가 궁금해요.
조용한 단호박
2025-04-1552251

답변 1

몽환적인 탄력피부2025-04-12
답변인증완료
상해코드와 질병코드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해코드는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이나 사고로 인한 신체 손상 시 발급됩니다. 반면, 질병코드는 건강 상태에 관련된 문제일 때 사용됩니다. 이런 경우 몇 가지 이유로 상해코드를 받을 수 없을 수 있어요. 1. 코뼈의 손상 여부: 병원에서는 코뼈에 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외부 손상에 의해 뼈가 부러지거나 변화가 있어야 상해코드가 발급됩니다. 2. 이전 수술의 영향: 이전에 기능코와 미용코 수술을 하신 부분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수술의 연장선상에서 재발된 문제가 질병코드로 분류될 가능성이 큽니다. 3. 진단서의 내용: 병원이 발급한 서류가 어떤 코드로 작성되었는지가 중요한데, 질병코드로 발급된 경우 상해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어요. 이러한 문제는 병원의 의견과 보험사의 요구가 서로 충돌할 수 있습니다. 추가 서류를 요청하거나 다른 병원의 소견을 받아 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보험사와의 충분한 상담과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좀 더 확실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법률 상담도 고려해보세요.

관련 질문

하이코 시술, 후기가 궁금해요!

2001
미용시술부작용후기

쌍꺼풀과 코성형 수술 비용은 얼마일까?

1991
성형수술쌍꺼풀수술복코교정

한방에서 가능한 코성형, 얼마나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1981
미용한의원 시술코필러